10개월의 기간동안 코스피 및 코스닥의 상위기업에 대한 임원 및 임직원의 연봉을 확인하고 임직원의 통계 DATA를 확인하다보니 문득 코스닥 시총의 순위가 여러 지표에서 어떤 공식이 있는지 궁금해 졌습니다.
시총의 순위가 등기임원, 미등기임원, 임직원의 연봉순위와 비례하는가? 또한 임직원의 숫자는 어느정도 되는지 순위를 갑자기 확인하고 싶은 순간... 매번 기업의 획일적인 숫자를 확인하기 보다는 가끔 이런 통계DATA 확인하는 분석 보고서도 있어야 겠죠.
- 아래의 기업의 시총 DATA는 24.11.11일 시총 순위를 기준으로 하여 23년 연말결산 공시보고서를 확인하여 정리한 DATA라는 점을 공지 드립니다.
실제 기업의 시총이 모든것을 대변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시총1위의 알테오젠의 전반적인 수준은 등기임원 및 임직원의 순위는 4위이며, 미등기임원은 15위로 동메달로 안되는것이 확인되고, 이와 다르게 HPSP의 경우 시총이 10위임에도 연봉순위가 매우 높은것을 확인할수 있었는데 등기임원 및 임직원의 순위는 1위이며, 미등기임원도 10위를 유지하는 높은 연봉이 지급되는 회사임을 알수 있습니다.
시총 20위 순위기준 연봉 및 임직원수
미등기임원의 연봉 순위를 보면 1위 엔켐 530백만원 평균값은 225백만원이며, 중간값도 223백만원임을 알수 있습니다. 임원님들 2억 받으시네요.
시총 20위 순위내 미등기임원 연봉순위
이제 서민들의 삶 임직원들의 연봉순위를 함 봐야겠죠. 코스닥 시총 20위내 기준 임직원연봉 1위 HPSP 122백만원 평균값은 71백만원, 중간값 65백만원 HPSP가 평균값을 올려놨네요. 시총 20위 순위내 임직원 연봉순위
우리모두 코스피도 아니고 중견기업들이 대부분인 코스닥의 평균값 연봉을 받기위해 하루하루 노력을 해봅시다.
저 높이 있는 연봉이라고 부러워 하지도 말고 우리모두 그 연봉을 받을수 있는 회사에서의 노력이 아닌 자신만의 직업, 재테크, 부업을 통해서 얻을수 있다는 목표를 가지고 오늘도 달려 봅니다.